제품 소싱 이야기 - 1688 사입
페이지 정보

본문
내 쇼핑몰에서 판매할 제품을 소싱 할 때 도움이 될만한 컨텐츠 들을 찾아본다.
중국 도매사이트 1688을 이용한다.
도메인 : https://www.1688.com/
1. 국내 사입보다 더 다양한 제품을 중국에서 사입할 수 있다.
2. 메인으로 사입할 앵커 제품들을 시즌성 제품으로 정하고 진행했다.
3. 1년을 12개월로 나눈다. 각 월별 제품, 주요키워드를 정해둔다.
4. 시즌보다 최소 3개월 전에 미리 그 시즌용으로 정해둔 제품과 주요 키워드에 해당하는 제품을 사입한다.
5. 제품 소싱원칙
가. 메인 키워드를 선정한다.
나. 중국 도매 사이트에서 제품을 선정한다.
다. 선정한 제품이 국내에서 어떤 방식으로 유통되는지 확인한다.
라. 제품을 제조하는 제조공장인지 확인하라. 2차 공급 가능성을 확인해야 한다.
* 1688 에서 검색할때 키워드를 최대한 원론적인 키워드로 입력한다.
구글번역을 사용하여 중국어 간체로 번역해서 입력하고 있다.
1688에 키워드 입력시 원초적으로 자세하게 입력할 것.
캠핑용풍 -> 야외 캠핑 박스 용품 ->
5. 괜찮은 제품의 기준 (의류 기준)
- 판매 마진율체크
- 작년, 재작년 트렌드와 이어지는 지 확인
- 로고, 화려한 디자인의 제품은 제외한다.
- 국내 소비자는 단조롭고 베이직한 제품을 선호한다.
- 국내 소비자는 아이보리, 블랙, 화이트, 그레이 색상을 좋아한다.
- 국내 소비자는 제품의 컬러옵션을 한두가지로 제한하는 것이 잘먹힌다.
- 중국의 로고는 촌스러운 느낌의 로고가 많다. 로고가 있는 제품은 제외한다.
- 중국 제조사의 업력, 후기, 전체적인 판매량을 체크한다. (제품 공급사의 최소한의 안정성을 확인한다.)
** 제품의 불량율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상기의 사항을 잘 체크한다.
6. 시즌성 제품과 스태디 셀러 제품의 구매 비중
- 시즌성 제품 70%
- 스태디 셀러 제품 30%
7. 소비가 흘러내리는 제품을 선택한다. (ㅎㅎ 낙수효과 !!)
- 제품의 구매자가 폭발적으로 많아 상위 판매자가 해결하지 못할 정도의 시장이라면 나에게도 매출이 일어난다.
8. 재고관리
- 시즌 최소 3개월 전에 사입을 준비한다.
- 폭발적인 시즌에 1차 물량을 소화하고, 2차 사입을 진행할 지 말지를 결정하는 시간을 가진다.
9. 버티컬 커머스
- 내 타겟이 있는 버티컬 커머스를 선정해서 진입한다.
- 제품 특화 플랫폼
- 패션 :
지그재그 : https://zigzag.kr/
무신사 : https://www.musinsa.com/
러블리마켓 :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kr.co.fleapop.fp&hl=ko&gl=US&pli=1
- 식품 : 마켓컬리 https://www.kurly.com/main
- 인테리어 : 오늘의 집 https://ohou.se/
10. 각 버티컬 커머스의 특성에 따른 썸네일과 컨텐츠를 제공한다.
ps KnowWhere :
판매할 제품을 소싱할때 흔들리지 않는 자신만의 기준을 제시해 준것 같다.
패션쪽에 치우친 정보지만 충분히 납득하고 따라해 볼만한 내용이다.
현재 알리바바와 테무의 국내 내습으로 중국 소싱이 얼마나 마진을 보장해 줄지는 확언하기 힘들다.
어려운 유통시장을 헤쳐나가는 좋은 컨텐츠들을 모아볼 생각이다.
- 이전글MD를 홀리는 내상품 제안하기 24.04.27
- 다음글해외 판매 쇼핑몰 플랫폼 리스트 24.04.24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